전설 원순 중고모음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전설 원순 중고모음은 혀의 앞부분을 입천장 앞쪽에 위치시키고 입술을 둥글게 하여 내는 모음이다. 국제 음성 기호(IPA)로는 [ø]로 표기하며, 입술을 둥글게 하는 정도에 따라 압축 모음([ø])과 돌출 모음([ø̫])으로 구분된다. 한국어에서는 'ㅚ'가 이 소리에 해당하며, 과거에는 단모음 [ø]로 발음되었으나 현대에는 이중 모음 [we]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. 전설 원순 중고모음은 덴마크어, 독일어, 스웨덴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된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전설 원순 중고모음 | |
---|---|
일반 정보 | |
![]() | |
IPA 기호 | ø |
IPA 번호 | 310 |
십진수 | 248 |
X-Sampa | 2 |
키르셴바움 | Y |
브라유 | ou |
발음 예시 | |
영어 | angbr IPA: ø angbr: ø angbr: eu angbr: œu angbr: œ angbr: ö angbr IPA: ʏ angbr IPA: ø |
음성 정보 |
2. 언어별 표기 및 발음
전설 원순 중고모음은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나는 모음이다.
몇몇 언어에서는 이 소리를 표기하기 위해 별도의 글자를 사용하기도 한다. 예를 들어 덴마크어, 독일어, 스웨덴어, 튀르키예어, 핀란드어, 헝가리어 등에서는 'ö'나 'ø'와 같은 글자를 사용하여 이 소리를 나타낸다. 프랑스어에서는 'eu'와 같은 철자 조합으로 나타내기도 한다.[12]
언어별 자세한 발음과 표기는 다음과 같다.
언어 | 단어 | IPA | 의미 | 비고 | |
---|---|---|---|---|---|
아스투리아스어 | 일부 서부 방언[2] | fuöraast | '바깥' | 이중모음 uo영어에서 o영어의 실현. 또는 로 실현될 수도 있다. | |
카브랄레스(동부) | ḥuöraast | '바깥' | 이중모음 uo영어에서 o영어의 실현. 또는 로 실현될 수도 있다. | ||
바이에른어 | 암슈테텐 방언[3] | 열린 모음 외에도 닫힌 , 근폐쇄 , 닫힌 중모음 및 열린 중모음 전방 둥근 모음을 대조한다.[3] 일반적으로 IPA에서 로 표기된다. | |||
북부 | 앞의 의 변이음이다. | ||||
브르타뉴어 | eurbr | '시간' | |||
체첸어 | / | '햄스터' | |||
덴마크어 | 표준 | købeda | '사다' | 근폐쇄 로도 설명된다. 덴마크어 음운론 참조. | |
제오로미치어 | '남자' | ||||
네덜란드어 | 표준 벨기에 네덜란드어 | neusnl | rowspan="2" | | '코' | 중심 로도 설명된다. 표준 북부 방언에서는 로 이중모음화된다. 네덜란드어 음운론 참조. |
많은 억양 | 많은 동부 및 남부 방언에 존재한다. 네덜란드어 음운론 참조. | ||||
영어 | 광범위한 뉴질랜드 영어 | ir'd영어 | rowspan="5" | | '새' | 의 가능한 실현. 다른 화자는 더 열린 모음 를 사용한다. 뉴질랜드 영어 음운론 참조. |
카디프 영어 | 다른 남부 웨일스 억양에서는 더 낮은 이다. 다른 웨일스 억양과 RP에서는 중간 중심 비둥근 에 해당한다. | ||||
포트 탈보트 영어 | |||||
지오디 | 대신 중간 중심 비둥근 일 수 있다. | ||||
남아프리카 영어 | 일반 억양과 광범위한 억양에서 사용된다. 대신 중간 일 수 있다. 세련된 변종에서는 중간 중심 비둥근 로 실현된다. 남아프리카 영어 음운론 참조. | ||||
에스토니아어 | tööet | '일' | 에스토니아어 음운론 참조. | ||
페로어 | 수로우이 방언 | bygdinfo | '다리' | 비강세 및 의 실현. 페로어의 IPA 표기에서 일반적으로 로 표기되는 강세 모음은 열린 중모음 이다. 페로어 음운론 참조. | |
프랑스어 | peu프랑스어 | '몇' | 프랑스어 음운론 참조. | ||
독일어 | 표준 독일어 | schönde | '아름다운' | 표준 독일어 음운론 참조. | |
남부 억양 | Höllede | '지옥' | 독일 남부, 스위스, 오스트리아에서 의 일반적인 실현. 표준 독일어 음운론 참조. | ||
헝가리어 | nőhu | '여자' | 헝가리어 음운론 참조. | ||
이아이어 | møøkiai | '눈을 감다' | |||
쿠르드어 | 팔레와니 | سۆرku/sör | '결혼' | 쿠르드어 음운론 참조. | |
레메리그어[6] | lēlqön̄lrz | '잊다' | |||
림부르크어 | 대부분의 방언 | beukli | '너도밤나무' | 마스트리히트에서는 중심 . 예시 단어는 하몽-아헬 방언에서 왔다. | |
롬바르드어 | 롬바르디아 [7] | nöflmo / noeuvlmo | '새로운' | 고전 롬바르드어 철자법 삼중자 oeu의 음성적 발음 중 하나이며, 와 함께 현대 철자법은 ö를 사용하여 글자 œ로 렌더링되는 음소와 구별한다. | |
저지 독일어 | sönnds / | '아들' | 특정 방언에서 좁은 닫기 이중모음으로 실현될 수 있다. | ||
뢰욥어[8] | nö‑qöyurr | '영혼이 출몰하는 장소' | |||
룩셈부르크어 | blödlb | '멍청한' | 차용어에서만 발생한다. 룩셈부르크어 음운론 참조. | ||
포르투갈어 | 미카엘렌스[9] | boipt | '황소' | 의 변이음. 포르투갈어 음운론 참조. | |
일부 유럽 화자[10] | doupt | '내가 줍니다' | |||
리푸아리아어 | 쾰른 | ö'sch | '참새' | rö've 테스트처럼 길게 나타날 수도 있다. | |
자터란트 프리지아어 | Göätestq | '배수구' | 일반적으로 IPA에서 로 표기된다. 음성적으로 ()와 거의 동일하다. 일반적으로 IPA에서 로 표기되는 모음은 실제로 근폐쇄 이다. | ||
와리어 | camöpav | '카피바라' | 희귀; 일부 화자의 경우 열린 음절에서는 로, 닫힌 음절에서는 로 진화하고 있다. | ||
서프리지아어 | 힌델로펜어 | beuchfy | 표준 서프리지아어에서 로 이중모음화된다. 서프리지아어 음운론 참조. | ||
오어 | 安wuu / oewuu | '안전' | |||
노르웨이어[11] | søtno | '달콤한' | 이 예시는 동부 도시 노르웨이어에서 가져왔으며, 이 모음은 중앙 로도 묘사된다. 노르웨이어 음운론 참고. | ||
스웨덴어 | 중앙 표준 | ölsv | '맥주' | 로 이중 모음화 될 수 있다. 스웨덴어 음운론 참고. | |
티베트어 | |||||
핀란드어 | öljyfi | '기름' |
2. 1. 한국어
한국어에서 'ㅚ'[12]는 이 소리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글자이다. 현대 한국어에서는 이중모음 [we]로 발음되는 경향이 강하지만, 원래는 단모음 [ø]로 발음되었다. 예를 들어, '된장'의 'ㅚ'는 [tønd͡ʑɐŋ]으로 발음될 수 있다. (단, 현대 한국어에서는 [된장]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더 많다.)2. 2. 기타 언어
언어 | 철자 | 발음 | 뜻 |
---|---|---|---|
덴마크어 | købe | '사다' | |
독일어 | schön | '아름다운' | |
스웨덴어 | öl | '맥주' | |
튀르키예어 | göz | '눈' | |
프랑스어 | peu | '적은' | |
핀란드어 | rölli | 풀, '잡초' | |
한국어 | 된장의 ㅚ[12] | [tønd͡ | '된장' |
헝가리어 | nő | '여자' |
3. 음성학적 특징
3. 1. 혀의 위치
혀의 가장 높은 부분이 입천장 앞쪽에 위치하는 전설 모음이다.
3. 2. 입술 모양
입술은 둥글게 오므린 상태(원순 모음)이다. 입술의 둥근 정도에 따라 압축 모음([ø])과 돌출 모음([ø̫])으로 나뉜다.[1]
캐트포드(Catford)는 앞모음과 뒤모음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언어에서 돌출된 뒤모음과 압축된 앞모음과 같은 별개의 순음화를 사용한다고 언급한다.[2] 그러나 스칸디나비아어군과 같이 돌출된 앞모음을 사용하는 언어도 있다.[3] 그 중 하나인 스웨덴어는 앞모음에서 두 가지 유형의 순음화를 대조하기도 한다(두 가지 유형의 순음화에 대한 스웨덴어 예시는 근전설 근근모음 참조).[4]
3. 3. 혀의 높이
혀의 높이는 반폐모음으로, 폐모음(고모음)과 반개모음의 중간 정도이다.
4. 국제 음성 기호 (IPA)
국제 음성 기호(IPA)에서는 중설 전설 반폐모음을 [ø]로 표기한다.[12] 입술 압축은 별도의 기호가 없으므로, [e͡β̞] (동시에 [e]와 입술 압축) 또는 [eᵝ] (입술 압축으로 수정된 [e])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. 입술 벌림 기호 [͍]는 둥근 모음 글자와 함께 [ø͍]와 같이 임시 기호로 사용될 수 있지만, '벌림'은 엄밀히 말하면 둥글지 않음을 의미한다. 돌출 모음은 [ø̫] 또는 [øʷ], [eʷ]로 표기할 수 있다.
5. 한국어 'ㅚ' 발음의 변화
전통적으로 한국어 'ㅚ'는 단모음 /ø/로 발음되었으나, 현대 한국어에서는 이중모음 [we]로 발음되는 경향이 강하다. 이러한 변화는 젊은 세대일수록 두드러지게 나타난다.
참조
[1]
문서
While the [[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]] prefers the terms "close" and "open" for [[vowel height]], many linguists use "high" and "low".
[2]
논문
Na frontera del asturllionés y el gallegoportugués: descripción y exame horiométricu de la fala de Fernidiellu (Forniella, Llión). Parte primera: fonética
https://www.uniovied[...]
2015-09-01
[3]
문서
Harvcoltxt|Traunmüller|1982, cited in Harvcoltxt|Ladefoged|Maddieson|1996|p=290
[4]
문서
Harvcoltxt|Basbøll|Wagner|1985|p=40, cited in Harvcoltxt|Basbøll|2005|p=48.
[5]
문서
Harvcoltxt|Peterson|2000, cited in Harvcoltxt|Árnason|2011|p=76
[6]
문서
"[[#shadows|François (2013)]], p. 207."
[7]
서적
Vowel Length from Latin to Romance
https://books.google[...]
Oxford University Press
[8]
문서
"[[#shadows|François (2013)]], p. 226."
[9]
웹사이트
Variação Linguística no Português Europeu: O Caso do Português dos Açores
http://www.uel.br/re[...]
[10]
웹사이트
Lista das marcas dialetais e outros fenómenos de variação (fonética e fonológica) identificados nas amostras do Arquivo Dialetal do CLUP
http://cl.up.pt/arqu[...]
[11]
문서
While {{Harvcoltxt|Vanvik|1979}} does not describe the exact type of rounding of this vowel, some other sources (e.g. {{Harvcoltxt|Haugen|1974|p=40}}) state explicitly that it is protruded.
[12]
문서
단모음 ㅚ이다.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